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2024년에 회사를 퇴사하셨나요? 그렇다면 2025년 5월, 꼭 한 번은 홈택스를 확인해보셔야 합니다. 저도 예전 직장을 그만두고 아무런 소득이 없던 시절, "나도 세금 신고를 해야 하나?" 헷갈렸던 기억이 있는데요. 지금은 그때 놓쳤던 걸 후회 중이에요.

     

    퇴사 후 소득 상황에 따라 세금 신고 대상이 되기도, 아닐 수도 있습니다. 놓치면 불이익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본인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해보세요. 아래 내용을 보며 간단하게 체크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꼭 확인해야 할 4가지 체크포인트

    ① 연말정산 완료 + 추가소득 없음 → 신고 안 해도 됨

     

    2024년에 퇴사했지만 회사가 연말정산까지 완료해준 경우, 그리고 퇴사 후 추가적인 소득이 전혀 없었다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아닙니다.

     

    ✔ 확인 방법: 홈택스 → ‘My홈’‘연말정산 내역’에서 확인 가능



    ② 연말정산 없이 퇴사 → 5월에 직접 신고

     

    퇴사 시 연말정산을 생략했다면, 2025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본인이 직접 신고해야 합니다.

     

    홈택스의 ‘근로소득자용 간편 신고 서비스’를 활용해 급여, 공제 항목(의료비, 교육비, 기부금 등)을 입력하면 간단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.



    ③ 퇴사 후 프리랜서/기타 소득 → 무조건 신고

     

    퇴사 후 유튜브 수익, 외부 강의, 원고료, 강연비 등 3.3% 원천징수된 소득이 생겼다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자입니다.

     

    이 경우, 2024년의 근로소득과 퇴사 이후 기타소득을 합산하여 2025년 5월에 신고해야 합니다.



    ④ 참고로 확인해볼 항목들

     

    항목 점검 내용
    건강보험 직장에서 탈퇴 후 지역가입자로 전환됐는지 확인
    국민연금 가입 공백 발생 시 '임의가입' 여부 검토
    고용보험 실업급여 수급 및 고용보험 환급 여부 확인
    4대 보험 퇴사 시 보험 정산 누락 여부 확인



    Q&A

     

    Q1. 퇴사 후 소득이 전혀 없으면 세금 신고 안 해도 되나요?
    A. 네, 회사가 연말정산까지 완료해줬고 추가 수입이 없다면 종합소득세 신고는 하지 않아도 됩니다.

     

    Q2. 연말정산을 안 하고 퇴사했는데 어떻게 신고하나요?
    A. 홈택스에서 ‘근로소득자용 간편 신고’ 기능을 통해 직접 입력 후 신고하시면 됩니다.

     

    Q3. 유튜브 수익 같은 기타 소득도 신고 대상인가요?
    A. 맞습니다. 퇴사 후 발생한 모든 3.3% 원천징수 소득은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.

     

    Q4. 건강보험 전환은 어디서 확인하나요?
    A.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고객센터(1577-1000)에서 지역가입자 전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Q5. 신고는 언제까지 해야 하나요?
    A. 종합소득세 신고는 매년 5월 1일~5월 31일까지 진행됩니다.



    결론 및 요약

     

    2025년 5월은 작년에 퇴사한 분들이 세무 상황을 점검해야 할 가장 중요한 시기입니다. 신고 대상 여부는 본인의 소득 여부, 연말정산 완료 여부에 따라 달라지니, 미리미리 확인해두시는 게 좋아요!

     

    • 연말정산 완료 + 추가 소득 없음 → 신고 불필요
    • 연말정산 없이 퇴사 → 5월에 본인 직접 신고
    • 프리랜서/기타 소득 있음 → 반드시 신고

    홈택스 접속만으로 본인의 신고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니, 꼭 점검해보시길 바랍니다.

     

    반응형